모바일 메뉴 닫기
 

콘텐츠(출판/기획)

문화연구(게시판)

제목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작성일
2022.04.13
작성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게시글 내용


지은이: 조한혜정 외 4인

내용소개
한류’는 아시아 지역 안에서 이루어지는 한국 대중문화의 유행 현상을 말한다. 이 책은 현재의 ‘한류’ 흐름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화산업의 거대자본화와 서구 중심성에 대한 대안적 해석의 가능성을 찾기 위해 쓰여졌다.
오늘날 국경을 넘나드는 문화 이동과 문화 ‘번역’의 양태를 분석하고 대중문화 교류를 통한 아시아 문화 지형의 변화를 분석하여 글로벌 시대의 문화의 ‘혼성’과 문화의 ‘번역’을 이해하는 방법론을 도출하고 있다.

21세기 ‘한류’ 보고서

주로 서구나 일본 중심의 글로벌한 보편적 문화 흐름에 익숙해 있던 우리에게 ‘한류’는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이런 맥락에서 ‘한류’에 대한 연구는 아시아 지역 안에서 이루어지는 대중 문화의 흐름을 분석할 수 있는 역사적 계기로 인식되었으며, 이를 통해 문화산업의 거대 자본화와 서구 중심성에 대한 대안적 해석의 가능성 또한 보여주었다. 이 책은 아시아 국가들간에 진행되고 있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대중문화의 흐름들을 살피고, 글로벌 시대의 문화 ‘혼성’과 문화 ‘번역’을 이해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며, 대중문화 교류를 통한 ‘아시아’ 문화 지형의 변화를 분석한다.
한류 열풍에 대한 담론 분석부터(조한혜정),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에서 유통되는 한국의 온라인 게임 분석(황상민)과 대만에서의 ‘한류’에 대한 현장연구(김현미),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유통시켰던 일본의 경험(이와부치 코이치), 일본 트렌디 드라마의 한국으로의 유입과 소비 과정을 통한 분석(이동후) 등 다섯 개의 연구논문이 실려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글로벌 지각 변동의 징후로 읽는 '한류 열풍' / 조한혜정
   1. 초국적 자본, 초문화 이동, 그리고 인류학
   2. [2001년 초∼2001년 10월]에 기사와 컬럼을 통해 일었던 논의들
   3. [2001년 말 - 현재]까지 평론과 해설을 통해 본 관점과 해법들
   4. 아시아를 찾아서, 사람을 찾아서 : 정체성의 정치학, 그리고 '초문화화' 연구의 시작

제2장 '한류'의 대중문화의 심리 - 온라인 게임을 통한 아시아 문화 연구 방향 / 황상민
   1. 문제 제기
   2. 인터넷 산업과 온라인 게임에서의 한류
   3. 온라인 게임의 한류와 사회 현상
   4. 한국의 온라인 게임 문화 : 리니지를 중심으로
   5. 온라인 게임의 '한류' 와 사이버 대중문화
   6. 온라인 게임의 문화 컨텐츠와 사이버 공간의 심리
   7. 한국 온라인 게임 세계의 창조 : 리니지 세상의 대중문화 심리
   8. 한국의 초기 온라인 게임 개발 문화
   9. 리니지 세상의 문화와 철학
   10. 온라인 세계에 침투한 현실의 계몽주의 : PK문제
   11. 온라인 게임 세계 속의 문화 충돌 : 아시아 문화 탐색의 기초
   12. 온라인 경제모델에 기초한 한류 현상의 또 다른 문제
   13. 온라인 게임과 아시아 청소년 문화

제3장 일본 대중 문화의 이용 가치 - 초국가주의와 아시아에 대한 탈식민적 욕망 / 이와부치 코이치
   1. 문제 제기
   2. 초국가주의(Transnationalism)
   3. '아시아에 속하나 아시아를 뛰어넘는다' : 공통성과 우위성
   4. 혼종주의(Hybridism)
   5. 문화 외교
   6. 대중문화와 탈식민성 : 한국과 대만
   7. 대중문화의 흐름을 진지하게 바라보기

제4장 한국 트렌디 드라마의 문화적 형성 - 탈국가적 문화수용 양식을 중심으로 / 이동후
   1. 들어가면서
   2. 세계지역화(glocalization)와 잡종화(hybridization)
   3. 한국 트렌디 드라마의 장르화
   4. 탈국가적 문화 차용과 지역의 요구
   5. 〈질투〉와 〈도쿄러브스토리〉의 서사적 접근성
   6. 글을 마치며

제5장 대만 속의 한국 대중문화 - 문화 '번역'과 '혼성화'의 문제를 중심으로 / 김현미
   1. '한류' 담론 속의 욕망
   2. 대만의 '한류', '한국풍' 그리고 '합한(哈韓)족'
   3. '가난'과 '대남자주의(大男子主義)'에서 '성형미인'과 '신여성주의(新女性主義)'로
   4. 한국 대중문화의 '대중성'
   5. 아시아적 문화 '소비' 양식과 지역화의 문제
   6. 탈국가적 문화 흐름 속의 '상호 이해'

참고문헌
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