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Community

커뮤니티

"우리들의 60년"

제목
지난 시절에 대한 단상 (90 신진호) (2009.01.10)
작성일
2023.03.06
작성자
영문과수업관리조교
게시글 내용


지난 시절에 대한 단상


90 신진호




1983년 부산에서 서울로 전학을 온 나는 이듬해 중학교에 진학하였다. 중학교 1학년 여름 어느 날 동교동 친척집을 방문하다가 얼핏 본 연세대학교는 나에게 너무도 커 보였다. 대학교라는 것에 대해 구체적인 고민을 해 본 적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대학교를 구경조차 해본 적이 없었던 나에게 연세대학교 앞을 지나가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엄청난 충격이었다.


시간이 흘러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연세대학교는 좀더 구체적으로 나에게 다가왔다. 내 인생을 위해 내가 처음으로 커다란 선택해야 할 시점―당시의 고등학생들에 어느 대학교를 가느냐는 문제는 제일 중요한 화두였을 것이다―에서 나는 큰 고민을 하지 않았던 것 같다. 그냥 연세대학교가 좋았다. 중학교 시절 그렇게 커 보이기만 했던 그 학교. 별다른 이유 없이 연세대학교를 가고 싶어 했다.


그런데 왜 하필이면 영어영문과를 선택했던 것일까? 고등학교 시절 내내 나는 학교 선택이 아니라 전공 선택에 대한 정보에 목말랐다. 그 당시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러했겠지만 나 또한 대학교에서 무엇을 공부해야 내가 원하는 일을 할 수 있을지 깊이 생각하지 못했다. 정보를 얻으려는 노력을 하지 않은 내 게으름이 원인이었을 게다. 단지 영어영문과를 가면 무엇이든 할 수 있으리란 생각했다. 당시의 내 성적과는 상관없이 말이다.


그러나 무엇이든 할 수 있을 거란 생각은 너무도 단순했다. 1990년 3월 입학하여 1998년 2월 졸업할 때까지 나는 영어영문과 학생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 매일 스스로에게 질문했다. 난 영어를 무척이나 사랑하는 학생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문학에 소질이 있는 학생은 더더욱 아니었다. 그냥 그들 중의 한 명이었다. one of them… 나는 평범하고 특징 없는 그들과 함께 백양로와 신촌 이곳저곳을 정처 없이 헤매고 다녔던 것 같다.


문학을 사랑하고 영어를 아끼는 교수님, 선후배, 그리고 동기들을 보면서 그들을 부러워했지만 그렇다고 내가 그들이 될 수는 없었다. 영시를 보면서 눈물이 나오지도 않았고 영소설을 읽으며 글을 쓰고 싶다는 마음도 전혀 들지 않았다. 문학작품들을 보면서 나는 항상 같은 말을 되뇌고 있었다. 왜 이렇게 해석이 안돼!!! 이 시가 도대체 왜 감동적이지? 나만 그랬을까? 강의시간 내내 옆에서 같이 졸고 있던 바로 그들도 나와 같은 말을 반복하고 있지 않았을까? 그렇다고 영어학 분야에 관심이 있던 것도 아니었으니 영어나 영문에 재능이 없었다는 게 솔직한 고백일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재미있게 들었던 강의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지금까지도 내가 좋아하는 소설이 있다. 바로 Lord of the Flies이다. 복학을 하고 나서 들었던 김태성 교수님 강의 때 읽은 소설이다. 군대에 갔다 와서 정신을 못 차리던(?) 3학년 1학기 때 들어서였는지 참 재미있게 읽었다. 인간의 본성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강의 시간이 지루하지 않았고 미리 책을 읽어나갔다. 반지의 제왕이 내 눈을 즐겁게 해주기 훨씬 이전에 파리대왕이 내 기억의 한구석에 깊숙이 자리 잡았다.


1997년 가을 지금 다니고 있는 직장인 한국은행을 들어오기 위해 필기시험을 치고 합격한 후 나는 당시 이경식 한국은행 총재와 면접시험을 쳤다. 이 총재의 질문 가운데 하나는 아주 평범했지만 나는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있던 것이었다.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책은 무엇이었나? 내 대답은 파리대왕이었다. The Lord of Flies… 책 내용을 설명하면서, 내 감상을 이야기하면서 나는 내가 영어영문과를 졸업하려는 학생임을 생생히 느낄 수 있었다.


학교를 졸업하고 많은 시간이 흐른 지금 선후배, 동기들이 마냥 그립기만 하다. 학교를 다닐 때는 그렇게 친하지도 못했고 불편했던 사람들도 있었는데 이제는 모두 보고만 싶다. 그 많던 동기들은 다 무엇을 하고 있으며 선후배들은 어디에서 볼 수 있을까? 간혹 멀리서 들리는 소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만나서 잘 못하는 술이나 한 잔 하고 싶은 걸 보면 나도 어느덧 늙었나 보다.


작년 초 90학번 동기들이 한 번 모인 적이 있다. 몇몇이서 동기들 연락처를 뒤지고 뒤져 연락을 하고 어렵사리 시간을 만들었는데 기대가 너무 커서였을까? 많은 동기들이 모임에 나오겠다고 약속했으나 실제로 얼굴을 볼 수 있었던 동기들은 불과 10명 남짓. 너무나 변해버린 모습을 옛날의 동기들에게 보여주기 싫었나 보다. 아니 너무나 변해버린 동기들의 모습을 보기 싫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날 본 동기들의 얼굴은 보기에 참 좋았다. 변해버린 그들의 모습은 내게 너무나도 익숙해 있었다. 아마도 그들의 모습에서 30대 중반의 나를 볼 수 있었기 때문이었으리라. 모두가 직장에서 시달리고 가정생활에 바쁘지만 하루 짬을 내서 맥주 한 잔 하던 그 순간이 내게는 시리게 달콤했다. 돌아서면서 또 보자고 던진 말들을 아직 실천에 옮기고 있지 못하지만 조만간 서로의 얼굴들을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일하는 직장에서 나는 특이한 존재이다. 직장 선후배 및 동료들은 내가 대학 시절 배웠던 것과는 전혀 다른 것을 공부했던 사람들이다. 절반은 경제학을, 3분의 1은 경영학을 나머지는 법학이나 통계학을 공부한 사람들이다. 이들과 일하다 보면 난 때때로 내가 그들과 조금은 다르구나 하는 생각을 한다. 소위 말하는 배경이 다르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다만 그 다른 배경이 나쁘지만은 않은 듯하다. 귀동냥으로나마 들었던 문학작품들에 대한 기억이 내 삶 어디에선가 묻어나오고,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만을 위해 펼쳐보았던 영어학 관련 전공서적 내용들이 업무시간에 때때로 떠오른다.


정말로 웃긴 이야기 하나. 4학년 2학기 강의시간에 접했던 A University Grammar of English(Randolph Quirk & Sidney Greenbaum 공저)란 책이 나와 같은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미국 출신의 영문교열사 책상에 놓여 있다. 그 책을 사무실에서 처음 본 순간 난 정말 놀랐다. 내가 저 책을 본 적이 있던 것 같은데 어디서 봤었지? 그 미국인은 대학교에서 언어학을 전공했다. 그가 공부한 것을 나도 공부했으니 그럼 내 영어수준이 그 미국인의 수준과 같은 건가? 영문자료 교정을 위해 그에게 가면 그는 가끔 그 책을 펼쳐 든다. 자신도 헷갈리는 게 있으면 그 책을 참고한다고 하니 나도 사무실 책상 어딘가에 그 책을 갖다 놓아야만 할 것 같다. 그와 나는 같은 수준이니까…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집으로 퇴근하면서 늘 연세대학교 앞을 지나다닌다. 너무도 익숙해져서인지 학교에 대한 감흥이 없어진 것만 같다. 그래도 인문관 주변을 가본 지는 꽤 된 것 같다. 주말에는 학교에 가봐야겠다. 아내와 딸의 손을 잡고 백양로를 걸어 올라가 인문관과 종합관의 정취를 느껴야겠다. 그 시절의 내 숨결과 발자국이 이곳저곳에서 나를 반기리라. 나와 함께 했던 사람들의 체취도 나를 기다릴 것만 같다. 영문도 모르고 영어영문과에 들어와 영문도 모르고 졸업을 한 나는 지금 이 순간 영문도 모르고 아련한 그 시절을 그리워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