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Community

커뮤니티

"우리들의 60년"

제목
목련꽃 외 (64 송권규) (2008.05.25)
작성일
2023.01.02
작성자
영어영문학과
게시글 내용


목련꽃 외 (64 송권규)




목련꽃




흰 구름이 바람 따라 내려오다


여인의 가슴이 되어 피어난 꽃




잡풀에 하얀 살 물들까


가시바늘에 뽀얀 살 찔릴까


벚꽃 인해전술에 시샘 날까




소나무, 꽃나무에서 멀찌감치 떨어져


울타리 길 돌아 인적 드문 곳에


수줍은 듯 미소 지으며 서있다.




그늘진 곳에서 더욱 빛나는 저 여인


두고두고 오래 보게


비야, 잠 좀 자라.


바람아, 어디로 좀 숨어라.






이중섭의 흰 소




재갈에 가죽채찍이 필요한 말과는 달리, 고삐와 버드나무 가지 또는, 삼으로 꼰 실 같은 줄만 있으면 힘 안들이고 부릴 수 있는 유순한 가축이 소인데, 이중섭의 그림에 나오는 소는 짚신도 벗어버린 채, 갈기를 곤두세우고 당장이라도 나의 심장을 노리고 쳐들어올 자세를 취하고 있다. 무엇 때문에 이 소는 무섭게 성이 나 있을까? 왜 화가는 온순하고 성실한 소를 호랑이나 사자처럼 호전적으로 그린 것일까?


쥐구멍 막아 놓으니 오갈 데 없는 쥐새끼가 만만한 것이 소라고, 외양간에 뛰어들어 소의 넓적다리를 물어뜯고 달아나서, 소가 울화통이 치민 건지, 죽어라 부려먹기만 하고 등판 살 뜯어먹는 쇠파리는 보고도 못 본 체하는 주인이 괘씸하여 싸가지 없는 주인장 나리를 시궁창에 처박으려는 건지는 모르겠으되, 아무튼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어, 당장이라도 그림 종이를 찢어버리고 밖으로 뛰쳐나와 날카로운 뿔로 사정없이 치받을 것 같다. 맹목적으로 저돌적인 공격자세 일변도가 아니라 앞 다리는 잔뜩 웅크리고, 뒷다리는 뒤로 빼서 기마자세로 방어자세까지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필시 소싸움 하는 장면을 묘사한 것 같은데, 간결하면서도 힘찬 묘사에 세상의 미물들이 숨죽이고 있는 것 같다.


갓 걸음마 시작한 아기도 한 손으로 고삐 잡고, 다른 손에 버드나무 가지만 들고 있으면, 소는 금세 주인인 줄 알아보고 고분고분해져 아이들의 친구가 되고, 아침 일찍 학교 가는 길에 개울가 풀밭에 메어두고 학교 파하고 와 보면 아침에 있던 자리를 지키며 일편단심으로 주인을 기다리는 충실한 하인이다. 또한, 어른들에게 소는 집안의 다른 식구들을 제쳐놓고 제일 먼저 농사일 상의하는 듬직한 맏아들이다. 소는 말에 비하면 걸음이 더디고, 머리도 영리하지 못하지만, 바로 그 느린 걸음과 평범한 두뇌 때문에 도맡아서 논밭을 갈고,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집안의 일등 머슴이 되었다. 물론 황소는 가끔은 힘든 일에 투정도 부리고, 일하기 싫어 아예 주저앉아 버리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영악하고, 까탈스런 말과는 달리 소는 부리기가 훨씬 수월한 동물이다.


농촌에 소가 없었다면 우리 조상님들이 어떻게 농사를 지을 수 있었을까,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이중섭의 그림에 나오는 철갑 같은 소의 등뼈와 가슴뼈가 우리의 농촌과 조상님, 그리고 이 나라를 지켜온 것이다. 고집 센 사람을 두고 흔히, “저 황소 같은 놈”이라고 하지만, 우리에게 소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가를 깨닫는다면, 천하에 이런 배은망덕한 막말은 할 수가 없는 것이다. 농부에게 소는 자기 마누라보다도, 아니 어쩌면 자기 자신보다도 더 소중한 수족 같은 존재였다. 그래서 소를 기르는 사람은 열심히 꼴을 베고, 겨울이면 식량이 떨어져 가족이 다 굶는 한이 있어도 소만은 쇠죽을 끓여 정성껏 모시었다. 열심히 외양간을 청소하고, 쇠똥이 몸에 늘어붙지 않도록 목욕도 시켜주고, 파리채로 쇠파리도 잡아주고, 모기 뜯기지 않게 모기장도 쳐주며 소를 거두었다. 자식의 대학 등록금을 마련하려고 소를 팔기도 하지만, 소 팔아 자식 대학 보내느니, 차라리 대학진학을 포기시키는 경우도 허다하였다.


농촌에서 소를 판다는 것은 집안 망하는 지름길이었다. 한 집안의 가보와도 같은 애지중지하는 소인데, 이중섭이 그린 소는 왜 이렇게 잔뜩 화가 나 있을까? 기어이 피를 본 것 같은 붉은 입술, 거친 숨 뱉어내면 파리 날개가 부러질 것 같은 벌렁코, 한껏 치켜세운 꼬리, 한 발짝만 내디디면 땅 밑의 굼벵이 창자가 터질 것 같은 우람한 발굽, 꼿꼿하게 발기한 性器 등으로 보아 필시 이 소는 황소임에 틀림없다. 목숨을 걸고 싸우는 판에 성기가 발기하다니, 동물이라서 그런가? 혹여, 발정한 소를 암컷 찾아 짝짓기 시켜주지는 않고 부려먹기만 하는 인정머리 없는 주인에게 참다 못해 분노가 폭발한 것일까? 또한, 소의 몸 전체가 활활 타오르는 불길인데도 유독, 소의 눈만은 초롱초롱 빛난다. 잔뜩 튀어나온 등뼈에서는 당장이라도 핏줄이 터질듯 하면서도 눈은 거짓을 모르는 유리알처럼 맑다.


이중섭은 간결하고, 힘찬 붓놀림으로 생동감 있게 소를 그리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친구 같기도 하고, 자식 같기도 한 유순한 소를 호랑이나 사자처럼 사나운 동물로 표현한 듯하고, 상대의 정신을 혼란에 빠뜨리기 위해 성기를 발기시키고, 어수룩한 듯하면서도 상대의 허점을 예리하게 꿰뚫어 보는 핏발서지 않은 초롱초롱한 눈을 그린 점은 치밀하면서도 파격적이다. 평온 속에 공포가 스며들고, 공포 속에 평온이 깃들어 있다고나 할까…


사실 이중섭의 소는 민족의 혼을 말하고 있다. 흰 소는 평화를 사랑하는 백의민족의 상징이며, 힘찬 기마자세는 외세의 침략에 대한 분노의 표출이고, 발기한 性器는 민족의 중흥을 나타내며, 초롱초롱한 눈망울은 소박한 민족성을 대변한다. 암울했던 일제 강점기에 이중섭은 소를 그리며, 해방된 조국에서 평화롭게 살며, 힘차게 번영하는 조국을 꿈꾸었을 것이다. 언제 보아도 이중섭의 흰 소는 이 땅의 젊은이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고, 어둠을 일깨워주는 새벽빛이요, 답답한 가슴을 통쾌하게 뚫어주는 청량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