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콘텐츠(출판/기획)

출판 현황

제목
20. 문학정전
작성일
2022.04.13
작성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게시글 내용


 
지은이: 고규진
 지은이 고규진은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및 동 대학원에서 독문학을 전공하고 독일 보쿰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연세대학교 고트프리트 켈러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독문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내용소개
'문학의 독자적 존재가치를 재점검하는 계기'

 정전은 인류의 문화사 자체이다. 마찬가지로 문학정전의 역사는 인류의 지성사와 일맥상통한다. 그런 만큼 정전의 존재 자체에 대한 섣부른 가치판단이나 일방통행식의 이데올로기적 폄하는 인류의 정신적 유산에 대한 부정과 같다. 그러나 긍정적으로 보자면 최근까지도 매우 활발한 문학정전에 대한 논쟁과 정전현상에 대한 비판적 진단은 문학의 현재적 의미를 새롭게 반추해 보는 생산적인 계기가 되었다. 예컨대 인류의 정신사를 논할 때 문학정전은 결코 피해갈 수 없는 징검다리와 같아서 포스트모더니즘에서와 같은 문학정 전해체론은 문학정전을 재정립해야 하는 당위성과 맞닿아 있는 것이다.
목차
Ⅰ. 문학정전의 역사
   1. 정전의 어원과 의미
   2. 유럽 문학정전의 형성
   3. 정전논쟁
Ⅱ. 고대 고전의 정전화과정: 문자문화와 호메로스의 서사시
   1. 문화, 기억, 문자
   2. 그리스 문자문화와 문화적 기억
   3. 호메로스의 서사시와 고전의 형성
Ⅲ. 근대 문학정전 형성과정의 역사적 예: 독일의 고전주의
   1. 독일의 "특수한 길"
   2. 괴테, 쉴러의 동시대 수용 양상
   3. 고전 민족문학의 정전화
   4. 민족문학정전의 제 문제
Ⅳ. 문학정전의 현 상황
   1. "문학의 위기"
   2. 문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필요성
   3. 다문화사회에서의 문학정전
Ⅴ. 현대사회에서의 문학정전의 기능
   1. 문학체계의 진화와 문학정전
   2.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문학정전의 기능

맺는말

부록: 정전 연구용어 해설

참고문헌

참고하면 좋은 문헌들